상세정보
미리보기
이슬람 혁명의 아버지, 호메이니
- 저자
- 유달승 저
- 출판사
- 한겨레출판
- 출판일
- 2011-03-30
- 등록일
- 2022-10-14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3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이란 사회의 갈등과 분열 속에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은 대립하는 각 계파의 지도자들이 한결같이 '호메이니'의 노선을 추종한다고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 이란의 국부'라 평가 받는 지도자 호메이니는 격동의 시기를 겪으며 오늘날 이란이 있기까지의 방향을 제시한 인물로, 독재정권에 대한 저항, 이슬람 공화국에 대한 구상, 국내외의 갈등과 전쟁 등 이란 현대사의 굵직한 흐름을 따라가는 데 핵심이 되는 존재다.
이란·중동 문제의 전문가로, 이란에 대해 왜곡되지 않은 바른 정보를 전달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저자는 이란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한 인물의 삶을 통해 이란의 진짜 모습을 전한다. 그는 보통의 사람들에게 대규모 시위와 이슬람 원리주의 강경파 등의 이미지로 '위험한 나라'라는 인식만이 크게 자리하고 있는 이란에 대해 편견 없는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 책은 호메이니의 어린시절, 현대 이란의 시작 지점부터 시기별로 짚어가며 현대사를 다루고 있으며, 그가 겪어온 혁명과 개혁의 역사를 알기 쉽게 풀어낸다. 또, 저자는 이란을 아랍이 아니라 페르시아로 봐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오늘날 이란 문화의 한 축이 되는 페르시아 역사와 종교 전반에 관한 지식도 함께 실어 보다 심도 있는 접근을 돕는다.
저자소개
이란·중동 문제 전문가. 어린 시절 뉴스를 통해 접한 이란의 이슬람 혁명은 그의 삶을 운명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특히 호메이니의 카리스마 넘치는 강렬한 눈빛에 매료된 그는 결국 대학에서 이란어를, 대학원에서 중동 지역 정치를 공부한 후 이란으로 유학을 떠났다. 당시 이란으로 유학을 온 한국인은 그가 처음이었다고 한다. 테헤란 국립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 대학교 중동연구센터(Center for Middle Eastern Studies)에서 초빙학자로 지내다 2001년 한국으로 돌아와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동 대학 이란어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란의 정치문화와 정치발전’을 주제로 영어와 이란어로 출판된 『The Role of Political Culture in Iranian Political Development』 『Farhang-e Siyasi va Touse’e-ye Siyasi』 외에, 『이슬람세계의 소수민족 분쟁: 끝나지 않은 전쟁』 『이슬람사회의 여성』 『중동정치의 이해 1,2,3』 『전쟁국가 이스라엘과 미국의 중동정책』 『한국의 대개도국 외교: 과거, 현재, 미래』(이상 공저) 『평화를 위한 아시아의 도전』 등과 같은 책을 집필하였다. 노엄 촘스키의 『숙명의 트라이앵글 1,2』를 비롯하여 『팔레스타인 이스라엘』(마르완 비샤라 지음) 『중동의 비극』(배리 루빈 지음) 『정치적으로 왜곡된 이슬람 엿보기』(로버트 스펜서 지음) 등 중동 지역의 문제를 다룬 책들을 번역하였다. 인터넷 블로그에 ‘유달승의 중동이야기’, 신흥개도국 지식정보포털 EMERiCs(Information for Emerging Countries)에 중동 관련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목차
추천의 글: 호세인 바쉬리예(시라쿠스 대학교 교수)
머리말: 이제 우리의 시각으로 이란을 보자
들어가며: 호메이니의 눈빛, 이란 첫 한국유학생을 끌다
*이란에 대한 상식: 이란은 아랍이 아니다
1부 현대 이란의 탄생
-시아파 이슬람 왕조의 탄생
-반외세 저항운동으로서의 담배 불매 운동
-미완으로 끝난 중동 최초의 근대화 혁명
-어린 시절의 호메이니
-시아파의 영혼, 종교도시 ‘콤’
-한 성직자의 청춘 시절
-영국의 지원으로 탄생한 팔레비 왕조
*이란 종교의 두 뿌리: 조로아스터교와 마니교
2부 민중의 저항과 호메이니의 등장
-수피주의자에서 정치가로
-석유 국유화 운동과 친미 쿠데타
-팔레비의 공포정치
-저항과 투쟁의 시작
-고조되는 반왕정 투쟁
-추방당하는 호메이니
*이란화된 이슬람교: 시아파 이슬람
3부 망명생활과 혁명의 토대
-터키에서 시작된 망명생활
-‘뱀의 소굴’ 나자프서 세운 이론
-들불처럼 번지는 반정부 투쟁
-미국이 임명한 ‘중동의 헌병’
*이슬람교 이해하기: 이슬람교와 수니파의 기원
4부 이슬람 혁명과 호메이니
-혁명의 불길은 타오르고
-호메이니, 세계의 주목을 받다
-쫓겨나는 샤
-이맘의 귀환
-여명의 10일
-집중되는 권력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탄생
-공화국 헌법과 마르자에 타클리드
*시아파의 특징: 원리주의 강경파의 기원
5부 이슬람 공화국이라는 실험
-미대사관 인질 사건
-이란의 문화혁명
-이란-이라크 전쟁의 시작
-자유주의 세력과 좌파 세력의 몰락
-성직자 대통령 시대
-반격에 나선 이란, 수세에 몰린 이라크
-‘삶의 열매’ 몬타제리와의 결별
-이란과 이라크, 8년 전쟁의 끝
-살만 루시디의 『악마의 시』
*시아파의 분류: 5이맘파, 7이맘파, 12이맘파
6부 호메이니가 떠난 자리
-이맘의 최후
-호메이니 이후의 이란
나오며: 2009년 이란 대선과 후폭풍
연표